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시에 대한 정의 우리 시문학사에 있어서 시에 대한 정의는 주로 서구의 시문학 내지 그들의 시론에 의지해 왔음이 사실이다.서구에서의 시의 출발은 그리스어의 '포에시스'로 보고 있다. 그 말에는행동과 창작의 뜻이 담겨 있다. 또 일컫기를 '포에타라고 했는데, 이말에도 창작하는 사람의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시나 시인은 어원적으로 같은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에 대한 정의 시와 시인의 관계를 문덕수(文守) 편저의 세계문예대사전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시란 집을 짓고 불을 붙이고 농사를 짓는 일과 동등한 일로 보았으며, 시인이란 논밭을 갈아서 일하는 대신에 주문을 외어 비를내리게 하고 수확의 감사를 노래하는 데 전력을 다한 사람이었다. 이런 뜻에서 시인은 구체적인 시작품, 즉 포에마.. 2023. 4. 22.
천문학개략 음양오행을 변질시킴으로써 여러 생물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특히 자미원은 최고의 신이 거처하면서 우주의 정령(政令)을 기획하고 발동하는 곳이라 알려져 왔다. 그만큼 중요한 별이 많이 자리한다는 뜻이다. 그러니 그 영향이 정권의 중심부에 미치고, 결국에는 정권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해중海中에서는 "혜성이 북두를 지나가면 대신이 모반하여 병란이 크게 일어난다. 북두의 괴에 혜성이 들어가면 만약에 북두의 괴에 혜성이 들어가면 대신이 모반하므로 대신을 죽이지 않으면 3일내로 왕이 죽는다. 봄과 여름에 혜성이 지나가면 3년 동안 그효험이 있고, 가을과 겨울에 혜성이 지나가면 1년 동안 그 효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감정부:感精符』나 『춘추위:春秋』 등에서도 "혜성이 자미궁을 침범하면 .. 2023. 4. 21.
동양의 천문학 일러두기 번역하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주석작업을 하였다. 또이해를 돕는 그림과 도표를 많이 실었다. 동양의 천문학에 좀더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부록에조선시대에 일어난 천문학적 현상을 『중국천문학사신탐:中國天文學史新探』에 의거하여 요약하였다. 『천문류초』에 나오는 천문도 『천문류초』에 나오는 천문도와 서양의 천문기법이 도입된 후에 완성된 『신법보천가』의 천문도를 대비해서 볼수 있도록, 왼쪽에는 『천문류초』에 나오는 천문도를 그 오른쪽에는 『신법보천가』의 천문도를 대비해서 실어놓았다. 서양의 별자리 원문과 대조해서 볼 수 있도록, 원문을 싣고 바로 아래에 번역문을 실었으며, 번역문의 사이사이에 주석작업을하였다. 현재 서양의 별자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점을 생각해서, 동양의 별자리와 서양의.. 2023. 4. 21.
동양의 별자리 알아보기 임금에 해당하는 별자리 밝고 별자리의 형태를 뚜렷이 갖추어야 지상에 밝은 정치가 이루어지며, 내시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형태는 뚜렷이 갖추어야 하나 밝으면 좋지 않고, 변소나똥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누런색이면 백성들의 건강이 좋고, 식으로 판별하게 된다. 별자리의 색깔과 형태 그리고 밝기 등으로 판별하되, 밝아서 좋은 것이 있고 그렇지 못한 것이 있다. 계절에 따라 할 일 구름이 많이 끼면 비가 온다는 예측부터, 해와 달의 운행에의하여 책력을 만들어 농사짓는 시기를 결정하고, "봄에는 생하는 기운이 강하므로 나무를 벤다든지 사람을 죽이는 일은 하지않는다”는 정치의 원칙을 세우며, 필수(宿)와 달이 만나면 큰비가 곧 올 것이라는 기상의 예측을 하고, 오성이 규수(奎宿)에취합하면 지혜로운 인재가 많이 태어날 것.. 2023.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