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십삼도 공부

천문학 공부를 위한 천문류초

by 이십삼도 2023. 4. 20.

기운의 단천(丹 토기운의 금천(天), 금기운의 소천(天),),수기운의 현천(天) 등 다섯을 말한다. 이 다섯기운이 항시 나타나는 것이 나니라, 해당하는 오행의 기운이 강할 때만 나타나서, 그 해의 하늘과 지상의 기운을 다스리는 것이다.

천문학 공부를 위한 천문류초
"천문학 공부를 위한 천문류초"

 

 

 

 

창천의 목기운

 

창천의 목기운은 28수 중에서 위(危)실류귀의 네 별자리를 지나는데, 이는 24방위에서 정과 임에 해당한다. 그래서오운육기론으로 볼 때, 정과 임이 합해서 목이 된다고 하며, 간지로 정과 임으로 시작하는 해를 목의 기운이 주관한다고 한다.

단천의 화기운은 28수 중에서 우여벽규의 네 별자리를 지나는데, 이는 24방위에서 무와 계에 해당한다. 그래서 무와 계가 합해서 화가 된다고 하며, 간지로 볼 때 무와 계로 시작하는해를 화의 기운이 주관한다고 한다. 금천의 토기운은 28수 중에서 심미각진의 네 별자리를 지나는데, 이는 24방위에서 갑과 기()에 해당한다. 그래서 갑과기가 합해서 토가 된다고 하며, 간지로 볼 때 갑과 기로 시작하는 해를 토의 기운이 주관한다고 한다.

소천의 금기운

소천의 금기운은 28수 중에서 항저묘필의 네 별자리를 지나는데, 이는 24방위에서 을과 경에 해당한다. 그래서 을과 경이 합해서 금이 된다고 하고, 간지로 볼 때 을과 경으로 시작하는 해를 금의 기운이 주관한다고 한다. 현천의 수기운은 28수 중에서 장익루위(胃)의 네 별자리를지나는데, 이는 24방위에서 병과 신에 해당한다. 그래서 병과신이 합해서 수가 된다고 하고, 간지로 볼 때 병과 신으로 시작하는 해를 수의 기운이 주관한다고 한다

하늘의 삼원(三垣) 천문도를 살펴보면 가장 중심에 있는 자미원(紫微垣) 외에도,28수가 놓인 적도의 안쪽으로 태미원(太微垣)과 천시원(天市垣)을 볼 수 있다. 이들 셋을 하늘의 삼원이라고 하는데, 각기 오제좌(五帝座)북극(極)제좌(坐)라 하여 천자의 역할을 하는별이 있다. 이렇게 인간의 최고 지위인 천자가 셋이나 있는 것은, 동시에 천자가 셋이나 존재한다는 뜻이 아니라, 각기 때에따른 역할을 나누어 놓은 것이다.

태미원은 상원

태미원은 상원이라고 하여 시작하는 때이고, 자미원은 중원이라 하여 번성하는 때이며, 천시원은 하원이라 하여 결실을맺어 감추는 때이다. 그래서 태미원에는 좌태미원과 우태미원은 물론 그 안에 소속된 관직이 간소하고, 장군과 정승을 같은지위로 놓아 건국하고 시작한다는 뜻을 살렸으며, 자미원에는동자미원과 서자미원에 관직이 여러단계로 많고, 정승을 장군보다 높이 두어 안정되고 번영된 시기임을 나타냈으며, 천시원에는 좌천시원과 우천시원에 제후국(또는 어느 정도 독립된 국가)을 배열하여 독립되고 분열된 쇠퇴기임을 보였다. * 기문(奇門)에서는 60갑자 180년주기로 보아, 첫 번째 60갑자를 상원(上元), 두 번째 60갑자를 중원(中元), 세 번째 육십갑자를 하원(元)이라고 하며, 1년을 나눌 때 전반기 180일을 60일씩 나누고, 하반기180일을 60일씩 나누어 역시 상중하원으로 본다. 물론 천자가 평소에는 자미원에 머물며 정사를 베풀다가, 태미원과 천시원을 별궁으로 삼아서 머물며 정사를 베푼다고도 볼 수 있다.

'이십삼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0) 2023.04.23
시에 대한 정의  (0) 2023.04.22
천문학개략  (0) 2023.04.21
동양의 천문학  (0) 2023.04.21
동양의 별자리 알아보기  (0) 2023.04.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