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번역하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주석작업을 하였다. 또이해를 돕는 그림과 도표를 많이 실었다. 동양의 천문학에 좀더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부록에조선시대에 일어난 천문학적 현상을 『중국천문학사신탐:中國天文學史新探』에 의거하여 요약하였다.
『천문류초』에 나오는 천문도
『천문류초』에 나오는 천문도와 서양의 천문기법이 도입된 후에 완성된 『신법보천가』의 천문도를 대비해서 볼수 있도록, 왼쪽에는 『천문류초』에 나오는 천문도를 그 오른쪽에는 『신법보천가』의 천문도를 대비해서 실어놓았다. 서양의 별자리 원문과 대조해서 볼 수 있도록, 원문을 싣고 바로 아래에 번역문을 실었으며, 번역문의 사이사이에 주석작업을하였다. 현재 서양의 별자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점을 생각해서, 동양의 별자리와 서양의 별자리를 연결하는 시도를 이은성 선생의 역법의 원리분석』에 의거하여천문학 개략」에 편집하여 실었다.
동양천문학에 대한 용어풀이
천문학 개략에 동양천문학에 대한 용어풀이를 해놓음으로써, 『천문류초』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다른 천문책을 번역할 때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종의 명에 의해 『천문류초』를 지은 이순지 박사에 대한 약력을 상세히 실어, 이 책에 대한 이해를 깊이 했다.9. 천문총도를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중국의 여러 천문도를 참정하여 태을천문도라는 별책 부록을 만들어 동4 천문류초양천문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는 물론, 항시 휴대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부록에 북두성에 대한 이름 및 개괄을 싣고, 기타 천문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도면을 실었다. 천문학 개략 천문(天文)에 대하여천문은 하늘의 무늬, 즉 해와 달 및 별을 비롯한 하늘에서 보여지는 모든 현상을 말한다.
;
임금의 별자리
고대로부터 인류는 하늘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보고, 그것이 지상에 미칠 영향을 예견하는 경험과기술을 축적하여 왔다. 이러한 기술은 때로는 정치적 목적으로이용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백성의 삶을 유익하게 하는데 쓰여졌다.동양의 하늘은 인간세계의 축소판이다. 임금이 있고 신하가있으며 백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궁궐이 있고 별장이 있으며명당이 있고 부엌이 있으며 곳간이 있다. 또 부엌에는 칼이 있고 도마가 있으며 땔나무가 있고 음식의 재료도 있다.백성이 사는 곳에는 시장이 있고 시장을 다스리는 관리가 있으며, 팔고 사는 물건이 있고 그를 재는 저울과 쌓아두는 곳간이 있다. 육로와 수로가 있고, 물건을 수송하는 수레와 배가 있으며, 우물이 있고 곳간이 있다. 만물을 다스리는 영험한 천신(天神)이 있는가 하면, 변소가 있고 똥이 있으며 오즘도 있다. 이렇게 지상에서 펼쳐진 모든 상황이 별자리라는 이름으로 하늘에 배열되어 있고, 각 별자리의 형상 및 색깔 등에 따라 지상의 사람들에게 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십삼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0) | 2023.04.23 |
---|---|
시에 대한 정의 (0) | 2023.04.22 |
천문학개략 (0) | 2023.04.21 |
동양의 별자리 알아보기 (0) | 2023.04.21 |
천문학 공부를 위한 천문류초 (0)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