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십삼도 공부

우리 시 이론

by 이십삼도 2023. 4. 23.

아가 마파람 (보리고개) 같은 단어들이 바로 정약용이 즐겨 사용하였던 시어들이다. 이런 시어들에도 바른 고고한 문학으로서 귀족을보다는 서민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의 일단면도 엿볼 수가 있어 여간 반갑지가 그밖에도 작시론(詩論)으로 중요시하던 것으로는 풍교 이기 묘 등이 있다.

 

우리 시 이론
우리 시 이론

풍교에 대해

'풍교'란 재도적 문학관에 입각한 것으로서 시는 교화하는 것이니 힘써 뜻을 전달해야 한다'는 이익의 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사회개혁의 어떤현실성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태도이다. '이기'란 성리학에서 나온 말로 인간성에 바탕을 둔 심성론과 밀접한 관계가있다. '문(文)은 기(氣)이고 도의(道義)는 이(理)이다' (吳純), 문장은 심에 근원을 둔다. 심(心)은 이(理)와 기(氣)가 합하여 이루어진다. 이(理)는 하나일 뿐이지만 기(氣)는 천변만화하는 것이니 어찌 동일할 수 있으리오' (濬), '문장은 기(氣)를 위주로 한다. 기(氣)가 부족하면 문장이 약하게 된다(吳純)라고 하여 천변만화하는 기상으로 보고 있다.

 

 

묘에 대해

'묘'란 대개 선(禪)는 묘에 있다고 하는데 시도 또한 같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교의 해탈의 경지와 같은 입장에서 보고 있다.고도한 시인의 정신세계 즉 영감을 통한 시세계의 구축을 목표로 삼았음을 일컫는다. 우리는 이제까지 시론 및 시작품의 평가 기준을 서구의 시를 모델로 하여 삼은 것이 사실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부터 시작하여 시는 스스로넘쳐 흐르는 힘찬 정감' 이라고 말한 워즈워드 등의 낭만주의의 시, 말라르메니발레리의 상징주의 시, 릴케의 신서정시, 그리고 에즈라 파운드의 이미지Imagism, 그밖에 허버트 리드의 정신분석학적인 시 분석, 시를 역설이나 아이러니로 보는 브룩스 등의 신비평New Critic 등의 방법으로 시를 보고 정의해왔다. 하지만 서구의 이들 이론들에 못지 않게 동양에서도 훌륭한 시론과 시작품들 26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이 있는 것에 우리는 이제 눈을 돌려야 한다.

 

 

선인들의 시론과 시에 대한 견해

특히 우리 선인들은 많은 훌륭한 시론들과 시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요사이에는 시가 없다. 시가 없는 것이 아니라 시다운 시가 없는 것이다. 김득신 사람이 문장을 가진다는 것은 초목에 꽃이 피는 것과 같다. 정약용 시를 짓기에 고심하면 생각이 깊어진다. 생각이 깊으면 이론이 해박해지고 이론이 해박해지면 언어가 새로와진다. 김조순 시에는 두 가지 난점이 있다. 탁자(字)와 연구(句)의 숙달이나 사물의이치를 체험하고 정서를 묘사하는 미묘한 일들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오직자연스러움이 첫째의 어려움이고, 깨끗한 여운을 남기는 것이 두 번째 어려움이다. 정약용 이러한 시 이론들은 오늘날 현대시의 이론에 견주어도 조금도 손색이 없다고하겠다. 이제 우리는 서구의 이론이 아니라 우리 시의 이론으로 시를 정의하고갈고 다듬는 일을 해야겠다. 

'이십삼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에 얽힌 옛이야기  (0) 2023.04.30
연과 영혼  (0) 2023.04.29
문인들의 예술세계  (0) 2023.04.23
시학과 시경의 의미  (0) 2023.04.23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0) 2023.04.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