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십삼도 공부

시를 쓸 때에 대한 이야기

by 이십삼도 2023. 5. 5.

이제 정작 시를 쓸 때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데 사실 내게는 남다른 습관이 없음을 부연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나는 용구, 일테면 연필이든 볼펜이든 만년필이든 가리지 않고, 또한 노트장이건 원고지건 포장지 나부랑이건가리지 않으며, 시간 역시 밤이건 낮이건 가리지 않는다.

 

시를 쓸 때에 대한 이야기
시를 쓸 때에 대한 이야기

 

 

시를 쓰는 장소

뿐만 아니라 옆에 사람이 있건 없건 가리지 않으며, 다방이건 사무실이건 침대건 가리지 않는다. 나를 저지하지 않고 저지할 수 없다는 생각만 들 수 있다면 나는 언제 어느 곳에서건 시를 쓰게 된다. 그리고 일단 쓰게 되면 30분에서 한 시간 정도에 그것을 끝낸다. 만일 그 사이에 이루어지지 않거나 처음 구절부터 성이 쓰이면 그대로 버리고 만다. 따라서 나는 씌어지는 대로 하루에 두 세 편 쓰기도 하지만 안 씌어지면 1년이든, 혹은 죽음에 이르러서도 쓸 수가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비교적 잘 씌어졌으므로 아무개의 우스개소리를 듣기도 했지만 솔직한 심정으로는 그런 우스개소리가 오래도록 내 곁을 떠나지 말았으면 한다.

 

 

시 쓰는 타인의 경우

사실 동료 시인들을 보면, 시를 쓰는데 있어서 새벽이거나 한밤중이 아니면 안되거나, 초록색 잉크를 써야만 한다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그들의 경우는 특별한 예외에 속할 것 같다. 내가 아는 시인들의 대부분은 그런 기벽을 갖고 있지 않다. 아침이건 점심녘이건, 시를 쓸 수 있는 시간 써지는 시간이면 그 시간이 시를 쓰기에 가장 알맞는 때다. 빨간색이든 검정색이든 초록색이든 잉크의 색깔같은 것으로 시가 써지고 안 써진다는 말은 그야말로 잘못된 습관에 기인할 뿐이다.

 

 

초고 소개

어쨌든 시를 쓰는 시간이나 장소, 용구 따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일단 달려들면 끝을 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내게는 거의 초고가 남아 있지 않다. 그런데 마침 서랍을 정리하다 본즉 한 노트에 목도(島)」라는 시의 초고가 남아 있어 소개할까 한다. 더우기, 한 작품을 여러 번 고쳐 쓴 것이어서 시작의 실제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것 같다.『삼국유사』를 주소재로 한 연작시 달은 즈믄 가람에 중의 한 편으로, 연작을 처음 쓸 무렵이라 내딴에는 무척 공을 들여 다시 고쳐 쓰기를 되풀이한 것이다. 그럴 것이 이제까지와의 시세계와는 전혀 다른 면을 보여주고 싶은 의욕에 휘말려 들었기 때문이다.

'이십삼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대에 관한 글  (0) 2023.05.06
시의 고쳐 쓰기  (0) 2023.05.06
시창작의 외적 조건  (0) 2023.05.05
연에 얽힌 옛이야기  (0) 2023.04.30
연과 영혼  (0) 2023.04.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