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

우리 시 이론 아가 마파람 (보리고개) 같은 단어들이 바로 정약용이 즐겨 사용하였던 시어들이다. 이런 시어들에도 바른 고고한 문학으로서 귀족을보다는 서민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의 일단면도 엿볼 수가 있어 여간 반갑지가 그밖에도 작시론(詩論)으로 중요시하던 것으로는 풍교 이기 묘 등이 있다. 풍교에 대해 '풍교'란 재도적 문학관에 입각한 것으로서 시는 교화하는 것이니 힘써 뜻을 전달해야 한다'는 이익의 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사회개혁의 어떤현실성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태도이다. '이기'란 성리학에서 나온 말로 인간성에 바탕을 둔 심성론과 밀접한 관계가있다. '문(文)은 기(氣)이고 도의(道義)는 이(理)이다' (吳純), 문장은 심에 근원을 둔다. 심(心)은 이(理)와 기(氣)가 합하여 이루어진다. 이(理)는 하나일 뿐이지만.. 2023. 4. 23.
문인들의 예술세계 문인으로는 이수광. 허균, 김시습, 삼당시인이었던 최경창, 백광훈, 이달 등을 꼽을 수 있다. 시는 원리와는 관계 없는 별종의 취향을 갖고 있다. 오직 천기(天機)를 농(弄)하여서 심원한 조화 속을 파악하여 정신이 빼어나고 음향이 밝으며 격이 높고 생각함이 깊으면 가장 좋은 시가 된다. 허균 한국고전시학사(韓國詩學史)』에서 최(崔)은 '천기를 하고 득해야 한다는 것을 우주의 조화, 자연의 조화, 자연의 신비를 터득해야 한다'는 것의로 보고 있다. 순수한 자기 예술세계에 대한 확립 이런 자각은 경전(經)의 차원을 벗어나서 순수한 자기 예술세계에 대한 확립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뭏든 조선왕조 후기로 내려오면서 조선왕조의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서 철학의 기틀이었던 주자학에 대한 모순이 드러나고 새로운 .. 2023. 4. 23.
시학과 시경의 의미 이수광 시인이 창작한 제2의 자연이 시다. 조지훈 시인이면 누구나 저마다 일가를 이룬 시의 정의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서구에서의 시의 개념이 아니라 동양에서의 시의 개념을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양에서 시경의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서구시의 규범으로 삼는다면 동양에서는 『시경』이 시의 근원을 밝힌 책이라 할 수 있다. 동양에서는 『시경』에 나오는 사무사(思無邪)'나 '시언지(詩志)' 같은 개념이 전통적인 시(詩)의 개념으로내려왔다. 이런 개념은 교훈적이요 공리주의적인 성격을 띤 것이라고 할 수 있다.시란 어디까지나 덕성을 기르는 방편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낙이불음 애이불상(樂바였다.된다는 것이 중국 전통시가 주장하는)'해야만 특히 공리주의적 입장에서 나온 '문재도설(文)이나.. 2023. 4. 23.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이상섭은 문예비평용어사전』에서 '시에 대한 가장 간단한 정의는소설·희곡· 일반 산문이 아닌 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 말은 시와 산문의구별을 의미한다. 시와 산문은 똑같이 민요 무용 Ballad Dance에서 출발했지만시는 음악적 요소가 더 많이 깃든 쪽으로 흐르고 산문은 철학 · 역사 · 웅변과같이 토의가 본질인 쪽으로 갈리게 되었다. 그런 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시는 운율에 의한 모방이다' 라고 한 말을 깊이 새겨볼 만하다. 시의 정의 좀더 좁게 시의 정의를 살펴보면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시란 서정시를 일컫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를 우리는 대개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 통례이다. 첫째는 기능ㆍ효용면에서이고, 둘째는 내용과 형식의 구별에서, 세제 20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는 구조나 구성 .. 2023. 4. 23.